- 0
- 로건
- 조회 수 112
1.
단통법 도입 이후 아이폰 시장이 많이 심심해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페이백, 고가 사은품 추첨 등의 방법으로 호갱들을 찾아 헤메는 업자들이 많다. 숫자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도 간단한 산수를 통해 이들을 회피할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3대 통신사, 2년 의무약정으로 아이폰을 사면 손해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물건을 사서 알뜰폰에 가입하는 것보다 2년 동안 대략 50~60만 원 정도 더 내게 된다. 음지든 페이백이든 사은품이든 결합상품이든 도합 60만원 이상의 덤을 받아야 알뜰폰+공홈 조합보다 확실한 이득을 볼 수 있다.
2.
이 표는 11/2 기준 XS 256G를 구입하는 두 가지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문자, 통화, 데이터가 무제한으로 제공되는 요금제를 기준으로 봤을 때 요즘 알뜰폰의 무제한 요금제 가격 트렌드는 33,880원이다. M모바일, 헬로모바일, U+알뜰에서 이 가격에 제공한다. 원래는 더 비싸지만 프로모션 경쟁을 하고 있다.
반면 이와 비슷한 스펙을 3대 통신사에서 찾으면 최소 6만 원에서 많게는 8만 원 가까이(79,000원) 들어간다. 이 표에서는 KT의 ‘데이터 ON 비디오’ 요금제를 참고했다. 여기서 2년 약정을 맺으면 각각 요금의 25%가 할인되는데, 최종적으로 월 요금차가 20,000원에서 35,000원 정도 나게 된다.
- 알뜰폰 역시 2년 약정 계약을 하면 25% 할인을 받을 수 있지만 업체들이 요즘은 2년 약정 계약으로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팔질 않는다. 그래서 실질적인 최저 합산요금은 월 99,713원이 된다.
- 대형 통신사 가입에서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 기기값 이자다. ‘분할상환수수료’라는 명목으로 1,562,000원의 월 이자를 내도록 되어있다. 아이폰 XS 256G의 경우 이 규모가 2년 동안 97,840원 정도 된다. 보통 많게는 12개월까지 무이자 할부를 선택할 수 있는 공홈 기기구매보다 손해 보는 부분이다.
4.
단통법 하에서는 선택약정을 받으면 공시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그래서 이 20,000~35,000원의 월 요금 차가 상당히 크게 작용한다. 표에서 시뮬레이션한 격차는 월 21,197원씩 2년간 508,728원이다.
5.
‘공홈 구매+알뜰폰 가입’ 모델이 그나마 싼 가격이라는 거지, 일단 아이폰은 비싸다. 어쨌거나 이렇게 사면 3대 통신사 예약판매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최소 35만 원 이상 절약할 수 있다.
6.
표에는 일부러 넣지 않았지만 알뜰폰+공홈 모델로 좀 더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가끔 오픈마켓이나 온라인 결제업체에서 자급제폰을 카드할인 등과 결합해서 판매할 때가 있는데 이걸 구입하면 된다.